점심만 먹으면 졸린 이유? 식곤증 제대로 알고 대처하기!
식곤증
식사 후에 졸립고 나른해지는 생리적인 현상.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나 일반 의학사전에서는 병명이라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일시적인 졸림 상태로 분류되며, 일상 언어로는 "밥 먹고 졸림"이라고 간단히 표현하기도 합니다.
먹을 食 피곤할 困 증세 症
즉, 밥을 먹고 피곤한 증세를 말하는 셈이죠.
식곤증이 생기는 이유
1. 소화 활동 증가
음식물 섭취 후 위장관에 혈류가 집중되면서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졸림을 유발 할 수 있어요.
2. 혈당의 급격한 변화
고탄수화물 식사를 하면 혈당이 급격히 오르면서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고, 이로 인해 뇌에 졸음을 유도하는 세로토닌과 멜라토닌 생성이 늘어날 수 있어요.
3. 수면 부족
평소에 잠이 부족한 상태에서 식사를 하면 식곤증이 더 강하게 나타나기도 해요.
대처 방법
1. 과식 피하기
한 번에 많은 양을 먹는 것보다 적당량을 자주 먹는 것이 좋아요.
2. 식사 구성 조절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보다는 단백질과 채소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혈당 급등을 막아줘요.
3. 식후 가벼운 산책
혈액순환을 도와 뇌로 가는 혈류를 늘리고 졸음을 줄이는 데 도움이 돼요.
4. 짧은 낮잠
여건이 된다면 10~20분 정도의 짧은 낮잠도 큰 도움이 돼요.
5. 수분 섭취와 스트레칭
물 한잔 마시고, 가볍게 목이나 어깨를 돌려보세요.
산소 공급이 늘고 뇌가 깨어납니다.
식곤증은 피할 수 없는 게 아니라 조절할 수 있는 현상이에요.
천천히 실천해보면서 나만의 컨디션 관리법을 만들어보세요!

-글쓴이
점심먹고 너무 졸려서 졸린 이유 찾다가 끄적여 보는 나의 상태😅